순천 영호도회소 전라좌도 행정·치안 담당하며 통치

<100. 순천의 동학농민혁명>
순천 영호도회소 전라좌도 행정·치안 담당하며 통치
순천부사 부임 지체로 행정공백…김인배 등 동학지도부 관아 장악
광양 등 주변지역 영향력 확대하며 경상도 농민군과 진주성 공격
 

1910년 연자루(燕子樓)와 순천성
전남 순천시 조곡동 죽도봉공원에 위치한 연자루는 원래는 순천읍성 남문루였다. 1919년 3·1운동 때 순천 상사면 출신의 박항래가 연자루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외쳤다. 일제가 시가지 정비계획을 빌미로 1930년 철거했다./순천시 제공

■ 영호도회소의 조직

순천에 설치된 영호도회소의 조직은 매우 체계적이었다. 영호도회소는 대접주(大接主) 김인배가 통솔했고 그 아래에 수접주(首接主) 유하덕(劉夏德), 도집강(都執綱) 정우형(鄭虞炯), 이우회(李友會) 광양·순천 수접주 김학식(金鶴植) 등이 상부 조직을 이뤘다.

상층부는 대접주, 수접주, 도집강, 성찰 등으로 편제됐고 하층부에는 면단위마다 접주, 접사, 성찰, 동몽, 서기 등이 있었다. 면과 면, 군과 군을 관할하는 도접주 혹은 수접주가 있었으며 집강소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도회소가 집강소의 역할을 했다.

직책에 따라 대접주와 수접주 및 도접주 등이 해당 도회소나 접(接)을 관할하는 대표였다. 도집강은 해당 접의 폐정개혁을 수행하는 책임자로 폐정개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라좌우도 대도소의 도집강이 각 지역 도소나 도회소의 도집강에게 지시를 내렸다. 이 지시는 읍면단위의 접으로 전달됨으로써 해당 집강들이 그것을 수행했다.

각 지역의 집강들은 해당 접주와 상의해 농민군이 보유한 무기와 장비를 파악하고 농민군의 약탈과 토색 금지, 민소 등을 해결했다. 그것을 다시 감영이나 도회소의 도집강에게 보고했다. 각 군현의 집강은 폐정개혁을 실행하는 주체로서 활약했다.

집강들은 민간인들의 다툼이나 폐정개혁의 추진, 동학 포교도 담당했다. 한편 접사(接司)는 접주의 명령을 받아 실행하는 부접주에 해당하는 역할을 맡았다. 성찰(省察)은 치안이나 경찰 임무를 맡고, 동몽(童蒙)은 어린 청소년으로 심부름이나 호위를 주로 담당했다.

영호도회소를 이끌었던 주요 구성원으로는 먼저 대접주 김인배가 있다. 그는 일명 용배(龍培)로 불렸으며 불과 스물네 살의 나이로 농민군 10대 지도자 중의 한 사람이 됐다. 그는 일찍부터 동학에 입도해 활동하다가 1894년 백산대회에 김덕명과 함께 참여했다.

이때를 전후해 김개남의 측근 세력으로 활동하다가 전주화약 이후 김개남을 따라 전라좌도의 남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책임을 맡게 된 것으로 보인다. 순천과는 전혀 지역 연고가 없었지만 김개남의 각별한 신임이 있었기에 20대의 젊은 나이로 영호대접주로 활동했을 것이다.

또한 순천의 진사 유재술이 농민군에 적극 가담했다. 실제 농민군의 지도자들은 대체로 학식을 갖춘 자 가운데 도탄에 빠진 백성들을 구원하려는 의로운 자가 많았다고 한다. 영호도회소의 농민군 지도자 역시 그러했다. 물론 일반 농민군으로 활동한 사람들은 가난한 농민이나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당시 대부분 사람들은 농민군을 도탄에 빠진 백성을 구하는 의로운 군대라고 생각해 열렬히 호응하고 지지했다. 민간에 대한 약탈은 관군이 주도한 반면, 농민군은 오히려 백성들의 폐를 조금이라도 덜어주려고 애썼다. 그래서 농민군의 진영에는 백성들이 가져다준 식량이 끊이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당시 농민군들은 주로 관가의 건물을 파괴하고 문서와 장부를 불태우거나 관청의 무기와 재물을 빼앗았다. 그러나 일반 백성들에게는 먹을 것과 짚신을 요구할 뿐 부녀자나 재물을 약탈하지 않았다. 농민군은 자신들이 표방한대로 보국안민적 입장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이처럼 백성들의 삶을 돌보려는 농민군의 활동이 알려지면서 농민군에 합류하는 백성들의 행렬은 더욱 늘어났다.

영호도회소는 또 각 군현의 치안 업무를 수행했다. 수령과 향리들이 도망하거나 공무를 집행하지 않게 되자 행정뿐만 아니라 치안 기능마저 마비됐다. 이에 각 도소의 도집강과 도성찰, 각 면의 집강과 성찰 등을 중심으로 부랑배를 단속하거나 타 지역의 농민군이 들어와 행패를 부리는 일을 막았다.

또한 폐정 개혁을 수행함과 동시에 포교활동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도회소의 관할 지역 내에서 동학의 6임제가 시행됐고, 동학의 접주들이 농민군 활동을 주도했다. 농민군을 ‘동학군’, ‘동학인’ 등으로 불렀다는 점으로 보아 농민군은 백성들 사이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영호도회소의 군사 활동

영호도회소가 순천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순천부사의 부임이 늦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순천부사 김갑규가 1894년 음력 6월에 이임한 후 약 2~3개월간 순천에는 새로운 부사가 부임하지 않아 공백상태에 있었다. 신임부사 이수홍(李秀洪)은 음력 8월에야 부임했다. 따라서 공백기 동안에는 영호도회소가 순천성내의 관아를 장악하고서 치안의 임무와 폐정개혁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수홍이 부임할 당시 순천의 관아는 이미 김인배를 비롯한 영호도회소의 수뇌부가 장악하고 있었다. 도호부의 관아가 영호도회소의 활동 근거지로 이용된 것이다. 당시 관원들은 농민군의 눈치나 살피는 천덕꾸러기나 다름없었으며, 신임부사조차도 빈 관사에서 유생들과 시문(詩文)이나 지으며 소일하자 순천부민들이 그를 비웃었다.

김인배의 지휘하에 영호도회소는 순천지역을 통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었다. 특히 순천과는 지척의 거리에 있던 광양은 영호도회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광양은 경상도 서부지역으로 진출하려는 영호도회소의 전진기지였다. 김인배를 중심으로 한 농민군은 경상지역 농민군들과 보조를 맞춰 하동을 거쳐 진주성까지 공격하게 된다.
 

1920년 순천성
과거 순천성 안에는 관아가 자리했다. 순천부사의 부임이 늦어져 김인배가 설치한 영호도회소가 순천관아를 장악하고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했다.
1930년대 순천 수비대
일제는 일본에 적대적인 동학세력을 말살한 뒤 결국 조선의 국권을 침탈했다. 일제가 순천에 설치했던 순천수비대 모습.

/최혁 기자 kjhyuckchoi@hanmail.net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