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때 숨진 광주 초·중·고생 18명 ‘재조명’

대부분 총상 사망…희생 기억할 수 있는 추모사업 전개

5·18 38주년을 맞아 5월 당시 어린 나이에 총을 맞거나 구타당해 사망한 청소년 희생자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청소년 희생자들은 민주화 시위에 참여하거나 시민을 구하러 헌혈하고 나오다 총격으로 사망하는 등 총상 사망자들이 대부분이다.

광주시교육청이 16까지 파악한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된 지역 학생들은 16개교 18명이다. 첫 학생 희생자는 동신중 3학년 박기현 군으로 1980년 5월 20일 계림동 책방에서 나오던 중 계엄군에 끌려갔다. 계엄군은 박 군을 데모꾼 연락병으로 지목하며 진압봉으로 구타했고, 박 군은 다음날 다발성 타박상으로 사망한 채 전남대병원에서 발견됐다.

계엄군의 집단 발포가 있었던 21일에는 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무등중 3학년 김완봉·전남여상(당시 춘태여상) 3학년 박금희·숭의중 2학년 박창권·대동고 3학년 전영진·동성고(당시 광주상고) 2학년 이성귀·송원고 2학년 김기운 학생이 이날 희생됐으며 모두 총상이 사망원인이다. 특히 박금희 양은 기독교병원에서 헌혈을 마치고 나오던 중 허리와 복부에 관통상을 입고 숨졌다.

다른 학생들은 대부분 머리에 총상을 입었으며, 도청 인근에서 조준 사격으로 숨진 것으로 5·18 단체들은 보고 있다. 송원고 김기운 학생은 22년 동안 무명열사로 시립공원 묘지 3묘역에 묻혀 있다가 2001년 10월 유전자 감식으로 가족을 찾기도 했다.

이후에도 학생들의 피해는 이어졌다. 숭의고 1학년 양창근 학생이 총상으로 죽었고 지원동 주남마을에서 송원여상 3학년 박현숙·방송통신고 3학년 황호걸 학생이 화순으로 관을 구하러 가다 총에 맞아 사망했다. 진남중 1학년 방광범·효덕초 4학년 전재수·살레시오고 2학년 김평용·조대부고 3학년 김부열 학생 등도 총상에 사망했다.

평용 학생은 101 사격장에 암매장됐다가 부모님·담임교사·시청 직원이 함께 찾아냈다. 총을 들고 계엄군과 싸우다 사망한 김부열 학생의 시신은 처참하게 난도질당해 유가족들이 사타구니 점으로 신원을 확인하기도 했다.

27일 도청 사수 마지막 날에는 서광여중 3학년 김명숙·동성고 1학년 문재학 안종필·조대부고 3학년 박성용 학생도 희생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희생자들의 면면만 살펴봐도 계엄군들이 얼마나 무자비하게 죄 없는 시민에게 총칼을 겨눴는지 알 수 있다”며 “이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고 기억될 수 있도록 다양한 추모사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