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만에 車공장 건립 기대…경형 SUV 경쟁력 ‘의문’

■광주형 일자리 가시화 ‘전망과 과제’
25년만에 車공장 건립 기대…경형 SUV 경쟁력 ‘의문’
노사민정 대타협 결실·새로운 노동정책 ‘광주’ 선도
동 떨어진 친환경차 시장 ·막대한 인프라 구축 등 관건
 

‘광주형 일자리’ 합작법인 발기인 총회
20일 오후 광주광역시 광산구 그린카진흥원에서 ‘광주형 일자리’ 자동차 공장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마지막 단계인 발기인 총회가 열린 가운데 이용섭 광주시장(앞줄 가운데)과 정창선 중흥그룹 회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 김동찬 시의회 의장,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광주형 일자리’ 모델의 첫 사업인 자동차 공장 합작법인이 첫 발을 내딛으면서 사업이 가시화됐다.

광주시와 현대자동차, 광주은행, 지역 기업 등이 출자해 만든 주주 회사인 합작법인은 공장을 만들어 자동차를 생산하고 부품·품질 검사, 노무, 인사 등을 총괄하게 된다.

법인 설립으로 노사 상생과 사회 대타협 일자리를 기치로 내건 광주형 일자리는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게 됐다. 광주시가 야심차게 추진한 광주형 일자리가 전국적 확산을 넘어 이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된 것이다.

하지만 올해 말 공장 착공, 2021년 완공·양산체제 등 가야할 길이 먼데다 복지 인프라 구축, 타 지역 일자리 사업과의 경쟁구도 우려 등 과제도 산적하다.

◇25년만 국내 車공장 건립 ‘기대’=‘광주형 일자리’ 자동차공장 합작법인 출범은 광주시가 산고의 고통 끝에 내놓은 결실이다. 노사민정 대타협을 기치로 내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전국적 관심이라는 부담을 안고서 민선 7기 출범 1년여만에 결국 사업을 본궤도에 올려놓았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오는 2021년부터 빛그린산단에 연 10만대 규모의 생산라인을 구축해 경형 SUV를 현대자동차로부터 위탁받아 생산한다.

현재 국내 경차 시장은 기아자동차와 한국GM이 양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경형 SUV는 생산되지 않고 세단(모닝, 레이 등)만 생산된다. 그런 만큼 경형 SUV를 생산한다는 광주형 일자리 합작법인은 새로운 실험이다.

현대자동차 측은 SUV에 대한 국내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경형 SUV를 개발해 세단 중심의 경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또 전체 근로자 평균 초임 연봉 3천500만원의 ‘적정임금’과 노사 상생 생산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광주 일자리 합작법인이 생산하는 경형 SUV가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불어 국내에서는 지난 1996년 이후 높은 임금과 노사분규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자동차공장이 건립되지 못했으나 25년 만에 공장이 가동될 전망이라 기대감이 남다르다.

◇친환경차 시장서 소외되나…과제도 산적=장밋빛 전망과 기대감이 넘치는 만큼 각종 우려도 나온다.

우선 사업 지속성과 확장성이 있는 친환경차 시장에서 소외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지역 노동계는 울산, 구미 등에 제2의 광주형 일자리를 표방하며 수천억원 규모의 친환경 차 생산·부품 공장이 들어서는 데 있어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 세계 차 시장의 흐름이 친환경차 국면에 접어드는 반면 광주형 일자리 합작법인은 2021년부터 경형 SUV를 생산해 내는데 과연 현대차의 기대만큼 경쟁력이 있을 지에 의문을 품고 있다.

합작법인은 수익성과 대중성 등을 고려해 내연 경형SUV로 출발했다가 향후 친환경자율주행차 시장으로의 전환도 검토할 방침이지만 친환경차 양산을 위한 제2, 제3라인을 만드는 데는 전체 투자액의 20% 가까운 금액이 추가 투입돼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빛그린산단에 친환경자동차부품인증센터와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 조성사업 등이 진행되는 만큼 향후 충분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거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자동차 공장과 함께 근로자들에게 복지 혜택으로 돌아가게 될 인프라 구축도 난관이다.

임금을 낮추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근로자에게 복지 지원을 하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의 핵심 지원책인 행복·임대 주택, 노사 동반성장지원센터, 직장어린이집, 개방형 체육관 건립, 진입도로 개설 등에 필요한 자금은 3천억원 규모다. 현재 정부 관련 예산으로 20억원, 고용노동부 공모 사업으로 어린이집 건립비 50억원만 확보된 상태다.

시는 공장이 착공하는 2021년까지 인프라 구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지만, 막대한 예산 조달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노사 문제 재연도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신설 법인이 노사민정협의체를 통해 근무 조건, 노사 문제 모든 제반 문제를 풀어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한다면 사업이 표류할 가능성도 있다.

이 밖에 법인의 안정성을 위해 최대 투자자이면서도 보조금,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또다시 제공하겠다는 시의 계획도 시민 혈세로 경영을 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