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독재에 저항한 부마항쟁과 5·18의 연대
<조선대서 진상규명 세미나>
공통적 성격의 두 항쟁 연대 필요성
한국 고질적 병폐 지역주의도 타파
5·18과 함께 부마항쟁 진상규명
 

28일 오후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세미나실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및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을 위한 세미나와 대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호남의 5·18광주민주화운동과 영남의 부마민주항쟁이 군사독재권력에 정면으로 저항한 공통적 성격의 민주항쟁으로 연대를 통한 진상규명과 정신계승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오후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세미나실에서 민주평화연구원과 법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원, 5·18기념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5·18민주화운동 및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을 위한 세미나와 대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봉주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장을 비롯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위운, 김재형 조선대 법학과 교수, 차성환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위원회 상임위원, 이건근 조선대 민주평화연구원 사무국장, 최선 조선대 사회과학연구원 사무국장, 고영남 인제대 법학과 교수, 김성재 조선대 사회과학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차성환 상임위원은 ‘부마 민주항쟁 진상규명 과제와 연대방안’에 대해 “한국정치의 고질적 병폐로 거론되는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두 항쟁은 민주주의의 발전이라는 지향을 통해 연대해야 한다”며 “최근 본격 출범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와 협력해 각각 진행해 온 두 항쟁에 대한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마민주항쟁과 5·18민중항쟁은 쌍생아와 다름없다. 모두 박정희 유신독재와 전두환 신군부라는 군사독재권력에 정면으로 맞선 대중항쟁이었다”며 “10·26사건으로 저항의 대상이 바뀌었지만 항쟁의 성격,주체 등이 거의 동일하다”고 말했다.

이어 “부마항쟁은 2014년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회가 출범해 총 120여종(총 4만여쪽)에 달하는 자료를 수집하고 국내외 문건 200건을 확보했다”며 “부산과 마산에서 연행, 구금된 시민은 1천563명이라는 당시 검찰 기록이 있음에도 실제 피해자로 인정된 수는 247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 “이와 관련 피해자 발굴과 증언 확보가 진상규명의 중요한 방법이지만 보수적인 지역 분위기와 핵심자료의 미확보로 관련자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며 “풀뿌리 민중을 찾고 올바로 자리매김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건근 사무국장은 ‘5·18 진상규명 과제와 연대 방안’에 대해 “야당 정치인에 대한 탄압 효과, 지역적 동질감에 기초한 민중항쟁 성격, 시민참여 민주화운동의 본격화, 진상규명 노력의 과정 등 연관성이 많다”며 “ 각 항쟁은 피해자와 지역민의 연대노력이 미흡했다. 각 항쟁의 진상규명 노력과 동시에 전국에 산재한 민주화운동을 아우르는 민간 차원의 교류 행사는 대학과 민주화운동단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교류 활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화운동의 민주인권평화 개념은 국민의 여론을 수렴할 수 있는 명분인 동시에 지역의 잘못된 정치적 관행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가능하다”며 “청소년·대학생 교류를 통해 항쟁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들에게 각 항쟁의 정신 계승과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알려줘야 한다. 전국 민주사적지를 활용한 다크투어리즘(비극적 장소를 돌아보는 여행)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지난해에는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을 맞아 양대 민주화운동의 연대를 위한 ‘부마민주항쟁 40주년 기록전시회’가 광주에서 열린 바 있다.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