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 나비효과 ‘나주강소특구’지형도 바꿨나
한전공대 부지만 후보서 제외 뒷말 무성
산·학·연 협력 연결고리 빠져 논란 확산
지역발전 저해 지적 속 부영 ‘책임론’ 부각

부영이 촉발시킨 한전공대 주변 골프장 부지에 대한 아파트 건립 추진 논란으로 인해 나주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에까지 영향을 끼쳤다는 여론이 지역에 확산되고 있다. 나주/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나주시가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큰 기대를 받았지만 한전공대가 제외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빛가람행정복지센터 입구에 걸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환영하는 대형현수막./심진석 기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 및 연계 산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생태계의 대변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나주‘강소연구개발특구’지정이 최근 확정된 가운데 당초 특구 후보구역에 올라있던 한전공대 부지만 쏙 빠진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일각에선 현재 입살에 오르내리고 있는 ‘한전공대 부지 논란 ’이 이번 강소연구개발특구 결정에 부메랑이 된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4일 한전 및 전남도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전남 나주를 포함한 전국 6개 지역을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로 지정·발표했다. 나주강소특구 구역은 크게 ‘기술창출지구(한전 0.25㎢)’, ‘기술사업화핵심지구(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부지 0.41㎢)’, ‘기술생태계순환지구(나주혁신산단 일원 0.84㎢)’로 나뉜다. 총 면적은 1.69㎢다.

◇특구 지정 목적·취지 ‘퇴색’

‘나주강소특구’는 전국 최초 공기업(한전) 주도로 시장창출형 기술개발 역량을 확대하는 동시에 다자 참여형 융복합 R&BD(사업화연계연구개발)로 상생모델을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빛가람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중심 연구개발특화단지를 조성하겠단 복안이다.

하지만 당초 나주강소특구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한전공대(부지)’가 제외되면서 여러 의혹을 낳고 있다. 강소특구를 연륙교 삼아 기술핵심기관과 혁신도시 배후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 거점 → 사업화 거점 → 생산 거점’으로 연결되는 산·학·연 협력체계의 몸통 역할을 할 한전공대가 빠진 것이 석연치 않다는 시선에서다.

이는 부영이 촉발시킨 한전공대 부지 주변‘부영CC(골프장) 잔여지’에 대한 아파트 건립 추진 논란이 뒷배경이 됐다는 목소리가 지역 곳곳에서 흘러나온다.

사실 이러한 잡음이 표면위로 올라온 시점은 부영이 한전공대 설립을 위해 무상 부지 제공을 시사했던 지난 2018년부터다. 이 무렵 횡령 등 혐의로 부영 모 간부가 재판을 받고 있었던데다 한전공대를 두고 전남도와 광주시가 서로 유치전을 벌이는 상황까지 겹치면서 이 부지 기부가 순수하지 못하다는 의혹이 확산됐었다. 한전공대 나주유치가 성공하면서부터는 부영이 잔여토지에 대한 용도변경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문까지 돌았고, 이는 최근 사실로 드러난 상황.

이 같은 일련의 과정을 고려하면 이번 강소특구 선정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강소특구 초기 계획안을 보면 나주혁신일반산단, 빛가람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와 함께 ‘한전공대연구소클러스터 부지’가 후보군에 포함됐다. 하지만 과기부를 주축으로 한 전문가위원회가 꾸려진 뒤(2019년 11월~2020년 6월)올해 4월부터 5월사이 1차례 강소특구 현장 실사가 이뤄졌고, 이후 전남도 및 한전 등이 참여해 여러차례 관련 회의를 진행했지만 그때마다 한전공대 부지 선정을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며 강소특구지정이 미뤄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부영발 논란’출구전략

한전공대 부지 선정을 반대한 표면적 이유는 한전공대가 건립되지 않았다는 것. 그러나 강소특구개발계획이 오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인 점을 감안하면, 2022년 3월 개교 예정인 한전공대를 포함시켜도 크게 부담되지 않는 상황. 더욱이 이번 강소특구에 포함된 혁신산단 내 들어설 한전에너지신기술연구소도 내년 9월~10월께 준공될 예정이란 점을 감안하면 불과 몇개월 차이여서 설득력이 크게 떨어진다.

지역 에너지 관련 기관 관계자들은 이를 한전공대 부지를 둘러싼 ‘논란의 소나기’를 피하기 위한 과기부 등의 출구전략 정도로 보고 있다.

한전공대 부지에 관한 지역 내 입방아가 끊이질 않은 상황에서 강소특구에 한전공대를 포함시킬 경우 기관이 나서 ‘지가상승’ 유도 등 부영 소유 부지에 대한 프리미엄만 잔뜩 안겨주는 꼴이 돼 자칫 ‘부영 도우미’로 전락할 수 있어서다. 이럴 경우 강소특구 본래 목적과 취지도 크게 퇴색된다.

강소특구지정을 앞두고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말까지 10여 개월 가까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다가 최종적으로 한전공대 제외가 결정되자, 작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된 점 역시 이와 맥을 같이 한다.

2018년 이후 부영으로부터 시작된 한전공대 부지 무상기부 및 주변토지용도변경 추진 논란이 나주빛가람혁신도시 발전의 미래 동력이 될 ‘강소특구지형도’자체를 바꿔버렸단 의구심에 무게추가 기우는 모양세다.

이와관련 한전 한 관계자는 “강소특구지정의 핵심은 산·학·연 협력과 연대다”며 “향후 한전공대가 추가 지정될 수 있는 여지는 남겨둔 상태다. 하지만 굳이 한전공대를 이번 강소특구에서 뺄 필요는 없었다. 부영이 한전공대 부지 무상 기부를 이용해 별도 사업을 추진하려한 욕심이 이번 강소특구지정에까지 영향을 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중·서부취재본부/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