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철 광주시 지속발전가능협의회 사무총장

자원순환 사회로 가는 길

지역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자원순환 운동을 한 지도 20여년이 넘었다. 쓰레기도 자원이기에 자원순환 사회로의 전환을 기치로 열심히 시민운동과 정책제안을 했지만, 별다른 변화 없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그러던 중 2018년 ‘중국발 쓰레기’ 대란이 발생했고 이후 엄청난 변화가 시작됐다. 수년간 카페 내에서의 일회용품 사용 근절을 외쳤음에도 미동도 않던 것이 단 몇개월만에 실행됐다. 이는 단순히 환경부가 규제해서 때문만은 아니다. 시민들이 동의했기 때문이다.

모든 정책이 그렇듯, 자원순환 정책은 시민의 참여와 협력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기업이 과대포장을 줄이고, 시민도 올바른 분리배출을 하게 된다면 쓰레기는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만약 정부가 규제만 한다면 기업의 반발을 살 수 밖에 없고 실효성도 미지수다. 그렇기때문에 시민의 지지와 협력 없이는 자원순환 정책의 실행은 불가능하다.

지난해 광주사회혁신플랫폼은 자원순환 관련 의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광주지속가능발접협의외에 자원순환 의제를 수행하는 간사단체 역할을 부탁했다.

자원순환 관련 의제를 한데 모으고 ▲함께하는 마을공동체 ▲시민사회단체 ▲유관기관 ▲광주시의회 ▲광주시 등을 함께 연계하고 협력하면서 실제 실천운동이 확산될 수 있는 방안을 요청한 것이다. 그 결과, 2019년 11월 38곳의 단체와 기관이 협력해 ‘쓰레기 제로 시민 실천 네트워크’가 결성됐다. 이후 많은 기관들은 공유대회를 열어 곳곳에서 진행되는 자원순환 활동에 대해 서로 공유하고 있다.

더욱이 올해는 시민 실천 네크워크의 활동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자원순환 교육이 마을과 학교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강사단을 양성한다. 또한 서울, 경기 등 쓰레기 분리배출 만이 아니라 쓰레기를 자원화하는 단계로 발돋움하는 지역을 직접 방문해 시행 착오와 성공 요인을 학습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현재 계획 중인 마을단위의 분리배출장(클린하우스)도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여러 주체들이 모여 논의 중이다. 이외에도 시·구의회와 연계해 자원순환 학습모임도 강화하고, 시민들이 어떻게 자원순환을 효과적으로 하는지를 콘테스트를 열어 홍보할 예정이다.

시민이 함께 하는 지금이 우리 광주가 자원순환 사회로 나아가는 최적기이다. 쓰레기 문제는 바로 광주에 사는 우리의 문제다. 누가 대신 해결할 수도 없다. 시민들이 직접 나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미래 세대와 우리 광주를 공유하며 살아갈 수 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